\

뷰브레인헬스케어, 치매 예측 AI로 미국 시장 진출 모색

미국 시장에서 ‘AI업계의 BTS’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도전장을 내미는 창업자가 늘고 있다. 뷰브레인헬스케어의 김재학 대표는 “제품 경쟁력에는 확신이 있고, 미국은 시장 규모가 100배 이상 커서 연내 미국 법인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뇌 MRI 영상을 분석해 치매 위험을 예측하는 AI 기술로 글로벌 진출을 모색 중이다. 바이오 실험 자동화 로봇을 개발하는 에이블랩스의 신상 대표 역시 “미국 시장은 바이오 실험 자동화 부문에서 전 세계의 약 30%를 차지하는 반면, 한국은 1~2%에 불과하다”며 “애초에 미국 시장을 목표로 창업을 준비해왔다”고 밝혔다. 에이블랩스는 지난해 1월 ‘에이블랩스 USA’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미국 공략에 나섰다.

뷰브레인헬스케어, KIC 테크 서밋 통해 미국 진출 교두보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혁신센터(KIC) 워싱턴 DC 주최로 지난 1-2일 메릴랜드 게이더스버그 메리엇 워싱턴센터에서 열린 ‘테크 서밋’(Tech Summit)이 성료됐다. 올해로 3번째로 개최된 테크 서밋은 한국 스타트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는 행사로 한미생명과학인협회(KAPAL)와 공동으로 주최됐고 워싱턴 DC 현지 투자자 및 잠재 파트너와의 미팅이 총 100여건 성사됐다.

뷰브레인헬스케어, IBK창공 마포 13기 프리데모데이 참여

IBK창공 마포 운영사 탭엔젤파트너스가 지난 4일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IBK창공 마포 13기 프리데모데이를 개최했다. 탭엔젤파트너스는 13기 육성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약 4개월간 금융지원, 컨설팅, IR, 산학연 기술매칭, 사무공간 지원, 전시회 참가 등 사업 고도화 및 투자유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뷰브레인헬스케어, KIMES BUSAN 2024

㈜뷰브레인헬스케어(대표 서상원, 김재학)가 오는 2024년 10월 18일(금) ~ 20일(일) (3일간) 개최되는 대한민국 최대의 의료기기 전문전시회, KIMES 2024에 참가합니다. 뷰브레인헬스케어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치매 진단의 바이오마커인 ‘ATN(Amyloid Beta, Tau, Neurodegeneration)’을 조기에 예측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치매조기진단 솔루션인 BeauBrain Amylo, Morph와 함께 테블릿 기반 디지털인지기능 검사인 SCST(Seoul Cognitive Status Test)와 어플리케이션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 PASCAL Trainer 제품을 홍보합니다.

경도인지장애 MRI 촬영 6배 늘었는데, 환자 10명 중 1명만 치료 중“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 후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치매 국가책임제가 책임지지 못한 ‘치매 예방’ 공백을 조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는 치매 전단계로 적절한 치료와

뷰브레인헬스케어, KHF2024

뷰브레인헬스케어가 오는 10월 2일 ~ 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K-HOSPITAL HEALTH TECH FAIR 2024, 이하 KHF)에 참가합니다.
이번 행사에서 전시 예정인 제품은 치매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베타가 뇌 영역별로 얼마나 침착됐는지를 정량화하는 솔루션 ‘BeauBrain Amylo’와  2D MRI(자기공명영상)를 분석해 뇌 영역별 뇌 위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치매 여부, 치매 위험 지수, 뇌 연령,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여부까지 예측하는 ‘Morph’ ,  디지털 방식의 인지기능검사 ‘SCST'(Seoul Cognitive Status Test), 그리고 치매예방 및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PASCAL Trainer’ 입니다. 

‘치매 진단’ 뷰브레인헬스케어, 40억 시리즈 A 펀딩 클로징

알츠하이머 치매 조기진단 및 예방 솔루션 전문기업 뷰브레인헬스케어가 시리즈 A 펀딩를 마무리했다. 전략적투자자와 협력해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1,2차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센터로 확대할 계획이다.

“치매도 90% 예방 가능”…3000만원짜리 백신 맞으려 줄섰다

“치매 예방이 90% 가능한 시대가 열렸습니다. 당장의 금전적 부담과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백신 접종 기회를 놓친다면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존엄성마저 다 잃게 될 것입니다.”

“신약 레켐비 등장…초기 치매치료 예방효과 극대화”

“이제 치료제가 등장했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도 조기에 발견하면 치매 예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 약들이 계속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새로운 기회를 얻기 위해서라도 시기를 놓치지 말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뷰브레인헬스케어, BeauBrain Amylo 식약처 인증

뷰브레인헬스케어의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BeauBrain Amylo가 2024년 3월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등급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치매, 조기예측 가능해진다…예측모델 개발

치매, 조기예측 가능해진다…예측모델 개발

질병관리본부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이용해 치매 발병을 조기에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3년 이내 치매가 진행될지 여부를 간단하게 예측해주며 정확도는 75% 수준입니다. 학술연구용역을 맡은 서상원 교수팀은 3년 이상 338명의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예측모델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개인별 예후 예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더 읽기
제7회 윤광열 의학상에 나덕렬 성균관의대 교수 선정

제7회 윤광열 의학상에 나덕렬 성균관의대 교수 선정

2016년 대한의학회 정기총회에서 나덕렬 신경과 교수는 제 7회 윤광열 의학상을 수여했습니다. 나덕렬 교수는 2010년 7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KMS에 발표한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논문의 책임저자로서 수상하게 됐습니다.

더 읽기
아름다운 뇌미인을 위한 ‘진인사대천명’

아름다운 뇌미인을 위한 ‘진인사대천명’

새해가 되면 다이어트, 체력관리, 피부관리, 경제관리, 인맥관리 등 잘 관리하고자 계획 세우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누구나 가지고 있으면서 보이지 않아 신경 쓰지 못하던 ‘뇌’관리를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더 읽기
[김순재의 힐링토크] 나덕렬 치매전문의

[김순재의 힐링토크] 나덕렬 치매전문의

나덕렬(59) 교수. 그는 각종 신문이 뽑은 한국 최고의 치매전문의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대한치매학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뇌신경센터장을 맡고 있다.

더 읽기
치매 명의이자 세계적인 뇌과학자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치매 명의이자 세계적인 뇌과학자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민국 대표 치매 명의의자 세계적인 뇌과학자인 나덕렬 신경과 교수는 세계 최초로 ‘치매 예방능력고사’를 열었습니다. 또한 나덕렬 교수는 제자들과 함께 ‘뇌미인 트레이닝’이라는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알츠하이머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교수는 평소 꾸준한 훈련과 건강한 생활습관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하며, 치매 예방활동에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전두엽 훈련과 명상은 치매 예방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합니다.

더 읽기
바이엘임상의학상 성균의대 나덕렬 교수

바이엘임상의학상 성균의대 나덕렬 교수

대한의학회와 바이엘은 제9회 바이엘임상의학상 수상자로 성균관의대 신경과학 나덕렬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나 교수는 지난 17년간 치매 분야 연구와 체계적인 진료를 통해 국내 치매 진료의 초석을 다졌으며, 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과 예방에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돼 본 상을 수상하게 됐습니다. 또한 치매 진단 검사도구인 SNSB를 개발해 국내 치매의 진단과 치료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더 읽기